신앙 – 근본 신앙

칼리마이 타위히드

لَٓا اِلٰهَ اِلَّا اللّٰهُ مُحَمَّدٌ رَسُولُُ اللّٰهِ

발음: “라~일라~하 일랄라~, 무함마둔 라수~룰라.”

뜻 : 알라 외에는 숭배 받을 존재가 없으며 무함마드는 알라 의 사도이다.

칼리마이 샤하-다

اَشْهَدُ اَنْ لَٓا اِلٰهَ اِلَّا اللّٰهُ وَاَشْهَدُ اَنَّ مُحَمَّدًا عَبْدُهُ وَرَسُولُهُ

발음: “아슈하두 알라~일라~하 일랄라~, 와 아슈하두 안나 무 함마단 라수~룰–라.”

뜻 : 나는 알라 외에는 숭배 받을 존재가 없으며 무함마드는 알라의 사도임을 증언하나이다.

아랍어로 “샤하-다(Shahadah)”는 ‘신앙의 증언’을 의미하며 개 인의 신앙심을 나타내는 가장 근본이 되는 표현이자 이슬람의 기 본 신조이다.

근본 신앙

‘신앙’의 사전적 의미는 ‘어떤 것을 믿는다’이다. 이슬람에 따 라 ‘신앙’은 알라께서 마지막 예언자 무함마드(쌀랄라후 알라이히 와쌀 람)를 통해 주신 메시지가 진리임을 진실한 마음으로 믿고 이 믿 음을 말로 표현하는 것이다.

이슬람에서 ‘신앙’은 다음과 같이 2가지로 나누어진다.

1. 초보적 신앙(이즈말리 이만)
2. 구체적 신앙(타프실리 이만)

1. 초보적 신앙(이즈말리 이만)

알라께서 유일하신 창조주임을 믿고 무함마드(쌀랄라후 알라이히 와쌀람)는 알라께서 보내신 마지막 예언자임을 믿는 것이다. 이것 이 바로 ‘칼리마이 타위히드 또는 칼리마이 샤하-다(신앙의 증언)’ 이며 누구나 이 구절 중 하나를 진정으로 받아들여 입으로 말하 는 그 순간부터 믿는 자가 되는 것이다. 알라의 가르침을 따르고 자 하는 자는 이 구절을 사실로서 인정하고 받아들이는 것이 가 장 최초로 할 일이다. 이 구절은 이슬람 신앙의 기본이자 요약 이라고 말할 수도 있기 때문에 ‘초보적 신앙(이즈말리 이만)’이라 고 불린다.

그러나 계속적인 신앙의 길은 단순히 이 구절을 암송하는 것 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즉, 이슬람 신앙은 좀 더 강력하고 구체 적인 믿음을 의미한다.

2. 구체적 신앙(타프실리 이만)

다음에 제시된 ‘6가지 기본 믿음’이 바로 이슬람 신앙의 근간 과 바탕이다. 이것은 무슬림이면 누구나 따라야 하는 신앙의 조 건으로 이를 ‘구체적 신앙(타프실리 이만)’이라고 칭한다.

이슬람의 6가지 기본 믿음은 다음과 같다.

  1. 알라에 대한 믿음
  2. 천사들에 대한 믿음
  3. 성서들에 대한 믿음
  4. 예언자들에 대한 믿음
  5. 내세에 대한 믿음
  6. 정명에 대한 믿음

이 6가지를 진실한 마음으로 믿음으로서만이 신앙의 근간이 완성되었다고 할 수 있다.

다음의 ‘아만투(이슬람의 근본 신앙)’는 이 6가지를 내포하고 있 다.

اٰمَنْتُ بِاللّٰهِ وَمَلَٓائِكَتِه۪ وَكُتُبِهٖ وَرُسُلِهٖ وَالْيَوْمِ الْاٰخِرِ وَبِالْقَدَرِ خَيْرِهٖ وَشَرِّهٖ
مِنَ اللّٰهِ تَعَالٰى وَالْبَعْثُ بَعْدَ الْمَوْتِ حَقٌّ. اَشْهَدُ اَنْ لَٓا اِلٰهَ اِلَّا اللّٰهُ وَاَشْهَدُ اَنَّ مُحَمَّدًا عَبْدُهُ وَرَسُولُهُ

발음: “아만투 빌라히 와말라이카티히 와쿠투비히 와루술리 히 왈야우밀아키리 와빌까다리 카이리히 와샤리히 민 알라히 따 알라 왈 바으스 바달마우티 아슈하두 알라~일라~하 일랄라~, 와 아슈하두 안나 무함마단 압두후 와라술루후.”

뜻: 저는 알라와 그 분의 천사들과 성서들과 예언자들과 내세 와 정명을 믿습니다. 죽은 후 부활하는 것은 진리입니다. 저는 알 라 외에는 숭배 받을 존재가 없으며 무함마드는 알라의 종복이 며 사도임을 증언합니다.

신앙에 따른 인간의 3가지 부류

1) 무으민: 진실한 믿는 자

알라께서 존재하심과 그 분의 유일성 그리고 예언자 무함마드 (쌀랄라후 알라이히 와쌀람)가 알라의 예언자임을 진실한 마음으로 믿고 이 믿음을 말로 표현한 사람.

2) 무나피끄: 위선자

알라께서 존재하심과 그 분의 유일성 그리고 예언자 무함마드 (쌀랄라후 알라이히 와쌀람)가 알라의 예언자임을 마음으로 믿지 않으면 서 입으로는 믿는다고 말하는 사람.

3) 까피르: 불신자

알라께서 존재하심과 그 분의 유일성 그리고 예언자 무함마드 (쌀랄라후 알라이히 와쌀람)가 알라의 예언자임을 마음으로도 믿지 않으 며 입으로도 그렇게 말하는 사람.

내세에서 ‘무으민’은 천국에 들어가 영원하고 행복한 삶을 살 것이지만 ‘무나피끄’와 ‘까피르’는 불신에 대한 벌로 영원히 지 옥의 고통 속에 있게 될 것이다.

신앙이 인간에게 주는 안녕과 행복

인간은 몸과 영혼의 결합된 피조물이다. 몸이 영양분의 공급 을 필요로 하듯 인간의 영혼 또한 양식이 필요하다.

영혼의 가장 중요한 양식은 ‘확고한 신앙’이다. 알라를 믿고 그 분께 의탁한 사람은 영혼의 풍족한 양식으로 인해 현세의 유 혹에 흔들리지 않고 올바른 길로 나아갈 수 있게 된다. 신의 도움 없이 인간은 한없이 미약하며 무능하다.

알라께서 말씀하시기를,

“믿음을 가진 자는 알라를 염원하여 마음의 평안을 찾느니 라.” (13장 28절)

신앙은 인간을 외로움과 무의미한 삶에서 벗어나게 한다. 신 앙은 영혼의 양식이며 마음의 빛이다. 신앙이 없는 사람의 영혼 은 텅 빈껍데기와 같으며 그의 마음은 칠흑같이 어둡다.

인간은 살아가며 다양한 고통을 겪게 되는데 이 때 신앙을 가 진 자는 결코 희망을 잃지 않는다. 알라께 의탁하며 인내와 노력 으로 헤쳐 나간다. 이렇게 인생을 살아가는 것은 결국 인간에게 큰 행복을 안겨준다.

신앙이 없다면 쉽게 무너지고 결과는 처참하다. 즉, 현세에서 도 내세에서도 불행하게 되는 것이다.

신앙과 그 실천의 관계

만약 신앙을 가진 무슬림이 이슬람의 가르침을 부인하지는 않 지만 그것을 실천하지 않는다면 어떻게 될까? 심판의 날 그는 그 에 대한 마땅한 결과와 마주하게 될 것이다. 왜냐하면 믿음을 갖 고 알라께서 명하신 숭배행위들을 열심히 행한 사람과 그것을 하 지 않은 사람이 내세에서 같은 대접을 받을 수 없기 때문이다. 이 슬람은 믿음과 실천, 둘 다를 중요시한다.

숭배행위는 신앙을 성숙하게 하며 더욱 강력하게 한다. 단순 히 신앙만을 가진 채 숭배행위를 실천하지 않는다면 신앙의 빛 은 결국 언젠가는 꺼질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한 예문을 들고자 한다.

신앙은 빛을 발하는 등불과 같다. 등불이 꺼지지 않도록 유리 로 덮어 보호해야 한다. 만일 이렇게 하지 않는다면 가벼운 바람 으로도 등불은 꺼질 수 있다.

우리의 마음에서 빛나고 있는 신앙을 보호하는 것은 숭배행 위이다. 예배, 단식 등의 숭배행위들을 행함으로서 우리는 알라 께서 명하신 의무를 다할 수 있게 되며 아울러 우리의 신앙도 지 키게 된다.

숭배행위를 행하지 않는다면 보호받지 못한 등불처럼 신앙의 빛은 꺼지고 그것은 무슬림에게 가장 중요한 천국의 열쇠를 잃 어버린 것과 같다.

신앙의 진실함과 그 조건

다음 3가지 조건을 갖추어야 진실한 신앙을 가졌다고 말할 수 있다.

1) 신앙은 임종의 순간에 이루어질 수 없다.

신앙이 없는 사람이 죽음을 맞이하는 순간 알라를 믿겠다고 선언하는 것은 아무 의미가 없다.

2) 이슬람의 가르침을 부인하는 언행을 피해야 한다.

예를 들어, 이슬람의 어떤 가르침은 인정하지만 일부는 부인 한다면 진실한 신앙이 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신앙이 사라질 원 인이 될 수 있다. 만약 이슬람의 가르침 중 하나를 부인한다면 그 것은 마치 이슬람의 모든 가르침을 부인하는 것과 같다.

3) 이슬람의 모든 가르침이 진리이며 완벽하다는 사실을 인 정해야 한다.

이슬람은 알라께서 보내신 마지막이자 완벽한 메시지이며 무 슬림의 진실한 신앙은 이슬람을 통해 완성된다. 그러므로 이슬람 의 가르침 중 어느 한 부분이 불완전하다고 판단한다면 그것은 알라의 권능하심을 의심하는 행위이다.

무슬림에게 가장 소중한 재산은 ‘신앙’이다. 인간이 죽음을 맞 이할 때 오직 신앙만이 가치 있게 된다. 따라서 무슬림은 마지막 숨을 쉴 때까지 신앙을 지키려고 최선을 다하고 그 신앙을 지닌채 내세로 가야 한다.

질문:

  1. ‘칼리마이 타위히드’와 ‘칼리마이 샤하-다’를 정확히 읽고 그 의미를 말해보시오.
  2. 근본 신앙은 몇 가지인가?
  3. ‘초보적 신앙(이즈말리 이만)’이란 무엇인가?
  4. ‘구체적 신앙(타프실리 이만)’이란 무엇인가?
  5. ‘아만투’를 읽고 그 의미를 말해보시오.
  6. 신앙에 따라 인간은 몇 가지로 분류되는지 설명하시오.
  7. 신앙이 인간에게 준 안녕과 행복은 무엇인지 설명하시오.
  8. 신앙과 그 실천의 관계는 무엇인지 설명하시오.
  9. 신앙을 진실하게 만드는 조건은 무엇인지 설명하시오.